SBS <그것이 알고 싶다>가 원전 비리 뒤에 숨겨진 잔혹한 진실을 끄집어냈다.
대한민국 원전의 문제는 실로 충격적이었다. <그것이 알고 싶다>가 취재한 한 인물이 “제2의 세월호가 원자력 발전소가 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는 이것이 남일 아닌 우리의 일이라는 걸 새삼 실감하게 만들었다 14일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고리원전 1호기 등의 현장 점검을 통해 대한민국 원자력발전소의 안정성을 확인하고, 속칭 '원전 마피아'의 실체를 파헤쳤다.. 흔히들 원자력 발전소라고 하면 홍보 영상을 통해 노출되고 있는 것처럼 마치 안전의 대명사처럼 여기는 면이 있다. 하지만 그건 사실일까. 어쩌면 실제 현실은 다르고 다만 그렇게 안전해야만 된다고 믿고 싶은 건 아닐까. 일본 후쿠시마에서 쓰나미에 의해 촉발된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눈앞에서 보면서도 우리는 그것이 다른 나라의 일이라고만 치부했던 건 아닐까. 원자력 발전소의 위험성이 아니라 쓰나미가 불러온 불운의 결과물처럼 여긴 데는 그 사안이 너무나 끔찍하기 때문에 우리의 일이라고는 도무지 믿고 싶지 않은 심리도 있었을 게다. 오래된 원전 부품을 신품으로 교체하는 건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일 것이다. 하지만 취재에 응한 부품 납품업체 직원의 증언에 의하면 구품을 새 부품처럼 둔갑시켜 재납품하는 비리가 벌어지고 있다고 했다. 기계팀장이 업체와 짜고 부품 교체를 하지도 않고 한 것처럼 보고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적어도 20억에서 30억의 돈이 오간다고 한다. 71년에 기공되어 30년 연한이 끝나 10년을 다시 연장하는 고리 1호는 그래서 지금 심각한 상태라는 것. 전문가들은 원자력 발전소에 적어도 500만 개의 부품이 있는데 이 부품 모두가 정상적으로 돌아야 비상사태가 벌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데 이런 부품 납품 비리가 자행되고 있다는 건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원진비리 중간 수사결과를 보면 이 사건으로 한수원과 한국전력기술 전 현직 직원들과 납품업체 직원들이 줄줄이 구속되고 있다고 한다. 그만큼 비리가 깊다는 것이다. 원전 부품을 납품하는 거래에 있어서도 아예 사양서를 납품업체가 만드는 일이 벌어지기도 하고, 납품업체 선정 수주 과정에서도 업체들 간의 담합이 공공연히 벌어지기도 한다고 한다. 즉 원전 비리가 고리 1호에만 한정된 이야기가 아니라 다른 원자력 발전소에서도 벌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원자력 발전소는 연료봉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 공급이 필수적이다. 만일 전기가 끊겨 냉각수 공급이 안 된다면 연료봉의 온도가 몇 천도까지 올라가 결국은 폭발하는 최악의 사태를 맞을 수 있다. 후쿠시마 원전 사태는 바로 그 사례를 그대로 보여주었다. 그런데 이런 일이 고리 1호 원전에서도 벌어졌다는 것. 작업자 실수로 전원이 전부 끊긴 상황에서 작동했어야 할 비상 디젤발전기가 작동하지 않아 12분 간 정전되는 상황을 맞이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수소폭발 전 단계까지 간 실로 절체정명의 위기상황이다. 하지만 한수원측은 이 중대한 사고를 은폐 축소하려 했다고 한다. <그것이 알고 싶다> 취재팀의 질문에 한수원측은 “12분 만에 전원을 복구했기 때문에 영향은 미미했고 또 직원들의 대처로 잘 수습해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과연 그럴까. 그런데 왜 굳이 일지까지 조작하려 했던 것일까. 이미 한수원측의 안전 불감증은 그 수위를 넘고 있다고 전 한수원 직원은 증언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태 역시 충분히 막을 수 있는 기회들이 있었지만 그것을 무시함으로써 이렇게 큰 사고로 이어졌다고 한다. 일본 전 총리는 이 피해 규모가 전쟁에 준한다고까지 말하고 있다. 해일이 문제가 아니라 결국은 사람이 문제인 것이다. 특히, 한수원은 다가오는 2017년에 가동 재연장 여부에 대한 기로에 놓여있는 고리1호기에 대해 원전의 안정성 문제가 논란이 됐다. 이에 환경단체와 시민단체는 고리1호기의 폐쇄를 강력하게 촉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안전에 대한 과신이나, 문제가 있는 것을 알면서도 쉬쉬하는 문화는 그 결과가 너무나 참혹하다는 점에서 결코 그냥 지나칠 문제가 아니다. "아래 동영상을 꼭 보고 경각심을 일깨우기를 바라는 바이다." <저작권자 ⓒ 서울의 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후쿠시마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