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관, 尹정권 반대하면 "공산당 기관지"(?)..첫 출근길 발언 논란'이동관, <언론 자유> 강조하면서도 "공산당 기관지 같은 언론은 언론 아냐" 모순 발언',
|
이 후보자는 1일 오전 경기 과천시 과천경찰서 인근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에 출근길 기자들과 만난자리에서 ‘언론자유’를 강조하면서도 일부 언론들을 공산당 기관지에 비유하며 ‘언론이 아니다’라는 모순된 발언을 했다.
그는 자신의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지명과 관련해 나오고 있는 현 정권의 방송장악 논란에 대해 “(자신은) 언론자유라고 하는 것이 자유 민주 헌정 질서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라고 생각해왔고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이라며 “언론은 장악될 수도 없고 또 장악해서 안 된다는 것”이라고 입장을 전했다.
그러나 그는 곧 “과거 선전 선동을 굉장히 능수능란하게 했던 공산당의 신문이나 방송을 언론이라고 이야기하지 않는다”라며 의미심장한 발언을 꺼냈으며 이에 ‘공산당 기관지 같은 언론이 존재 하느냐’라고 기자들 질문하자 이 후보는 기다렸다는 듯 “그렇다”라고 강조했다.
이후 언론사를 특정해달라는 기자들의 요구에는 “국민들이 판단하시고 본인들이 잘 아실 거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 후보자의 이번 발언은 방통위원장 임명 이후 기존 언론 중 자신과 현 정권에 반대 기조를 보이는 언론에 대해서는 자신이 강조한 언론자유를 적용시키지 않고 탄압을 할 수 있다는 의미로 평가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이번 이 후보자 발언과 관련해 즉각 반발입장을 표명했다.
강선우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 후보자가) 현 정권에 쏟아지는 불리한 보도를 싸잡아서 공산당 기관지 취급까지 했다”며 “지난 세월, 국정원 등을 동원하며 언론을 공산당 기관지로 전락시키려 들었던 이동관 후보가 궤변을 늘어놓는 작태에 치가 떨린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것으로 이동관 후보의 언론관은 명확해졌다”며 “오직 윤석열 대통령의 입맛에 맞는 보도만 해야 하고, 그것에서 벗어나면 공산당 기관지로 취급당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김한규 민주당 원내대변인도 이번 이 후보자 발언 관련해 “결국 언론의 구체적 행태를 검열하겠다는 입장으로 들린다”라며 “이동관 후보자의 그런 발언 자체가 위원장으로서 상당히 부적절한 인물이라는 걸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정의당 역시 오후 브리핑을 통해 “(이 후보자 발언은) 이미 언론 생태계를 재단하고 편가르기 한 MB정권의 언론탄압기술자의 ‘땡윤뉴스’하지 않으면 언론으로 취급하지 않는다‘라는 언론에 대한 협박이자, 선전포고이다”라고 일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