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돈 봉투 사건과 김남국 가상화폐 투자 건으로 마치 세상이라도 뒤집어진 듯 호들갑을 떨며 파상공세를 펴던 국힘당이 오히려 수세에 몰리게 되었다. 박순자, 김현아, 하영제, 태영호에 이어 이번에는 부산의 황보승희가 공천헌금을 받았다는 의혹에 휩싸였기 때문이다. 국힘당 먼저 공격하고 역풍 맞아
국힘당은 항상 먼저 공격했다가 나중에 당하는 스타일인데, 지난 LH사건도 그랬다. LH사건은 민주당의 책임이 아닌데도 국힘당은 이를 문제 삼아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승리했다. 그러나 그 후 권익위가 전수조사한 결과 국힘당에 법위반 소지자가 훨씬 많았는 게 드러났다.
수구들은 항상 그런 식이다. 우선 공격해놓고 불똥이 자기들에게 튀면 침묵하는 못된 버릇이 있다. 이번 공천헌금 사건도 똑 같은 패턴이다. 국힘당은 민주당 돈 봉투 사건과 김남국 가상화폐 사건을 빌미로 민주당이 마치 거대 부패 세력인 양 호들갑을 떨었지만, 그 후 자당 소속의 의원들 다수가 공천헌금에 개입했다는 밝혀져 망신을 당하고 있다. 하나하나 분석해 보자.
박순자 공천헌금 의혹
지난 총선에서 민주당 김남국 후보에게 패한 박순자(안산 단원을 당협위원장)는 그후 공천헌금 의혹이 터져 더욱 궁지에 몰렸다. 보도에 따르면 박순자는 6·1 지방선거 당시 공천을 대가로 현 국민의힘 소속 안산시의원 3명에게서 수천만 원을 받은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그러나 법원은 박순자를 보석으로 석방했다. 수원지법 안산지원 형사1부(안효승 부장판사)는 공직선거법 위반(정당의 후보자 추천 관련 금품수수 금지) 등 혐의로 기소된 박 전 의원이 낸 보석 청구를 지난 19일 인용했다. 지난해 11월 30일 재판에 넘겨진 박순자의 구속 만료 기간은 5월31일이었다. 하지만 재판이 시작되면 그녀는 유죄를 받을 것이다.
김현아 공천헌금 의혹
국민들을 가장 분노하게 한 사람은 바로 김현아다. 그녀는 그동안 걸핏하면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을 공격하기로 유명했는데, 부동산 문제로 서울시도시공사 사장 임명에서 낙마한 후, 이번에는 공천헌금 사건이 터져 사실상 정치 생명이 끝났다.
김현아 공천헌금 사건은 검찰이나 민주당이 따로 밝힌 게 아니라, 국힘당 소속 사무국장이 고발해 밝혀졌으므로 빼도 박도 못한다. 언론이 공개한 녹취록을 들어보면 정말 가관이다. 어떻게 인간이 그토록 뻔뻔스러울 수 있는지 혐오감마저 들게 했다.
김현아 지역구인 고양정에서 당협 사무국장을 지낸 이강환 씨는 "시의원 200만 원, 운영위원 120만 원은 김현아 위원장이 정했다"며 "회비 입금은 일종의 공천 관문이었고 실제로 입금자 중 5명 이상이 국민의힘 소속 기초의원으로 공천받아서 당선됐다"라고 방송에 출연해 폭로했다.
이렇게 걷은 운영 회비는 당협의 운영에만 쓰이지 않았다. 김현아의 이름으로 나가는 경조사비와 화환은 물론, 본인이 사적으로 운영하는 포럼의 식대나 뒤풀이 비용, 심지어 개인 사무실의 전기 공사 비용까지 이 통장에서 지출됐다. 당시 육성이 녹음파일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사무실 임차 비용까지 포함하면 김현아가 불법 정치자금으로 의심받는 돈은 차명 계좌로 받은 3200만 원, 현찰 1000만 원, 임차보증금 대납 1500만 원 등 총 5700만 원이다. 여기에 사무실을 임차하면서 미리 납부한 선수관리비까지 더하면 불법 자금 규모는 6000만 원에 육박한다.
정당법 제37조 3항은 '누구든지 시‧도당 하부조직의 운영을 위하여 당원협의회 등의 사무소를 둘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당협 사무소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사무소 운영을 위한 '운영 회비'도 당연히 존재해선 안 된다. 또한 정치자금법에 따라 선관위에 신고하지 않은 계좌로 후원금을 받으면 불법이다. 당협이 회비를 걷는 것도, 차명 계좌도 모두 불법인 것이다.
그러나 김현아는 “당원들이 자발적으로 걷은 모임의 운영 회비로, 정치자금을 불법적으로 모금한 적이 없다, 현금이 담긴 돈 봉투를 직접 요구한 적도, 받은 적도 없다 기사에서 언급된 녹음파일은 돈 봉투를 주고받는 대화가 담긴 녹음파일이 아니다.” 라고 둘러댔다.
하영제 공천헌금 의혹
한편, 국민의힘 현직 의원인 하영제 의원(사천·남해·하동)은 지난해 6·1 지방선거를 앞두고 경남도의회 도의원 선거 예비후보자 공천을 도와주는 대가로 예비후보자 측으로부터 7000만 원을 수수하고 자치단체장과 보좌관 등으로부터 지역 사무소 운영 경비 등 명목으로 5750만 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바 있다.
하영재는 국회에서 체포동의안까지 가결됐으나, 법원은 지난 3일 "피의자가 대부분 범행을 자백하고 있다"며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자백하면 구속영장을 기각하는가? 만약 대상이 민주당 의원이었어도 그랬을까? 수구들은 검찰, 법원과 거대한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다. 이걸 깨지 않으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 무슨 얼어죽을 공정과 상식인가? 본부장 비리도 다 무혐의가 나는데!
태영호 쪼개기 후원금 의혹
한편 제주4.3 발언과 김구 발언, 대통령실 공천 개입 발언으로 최고위원에서 사퇴한 태영호는 지난해 지방선거를 전후로 본인 지역구에서 당선된 기초의원들로부터 정치후원금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이른바 '쪼개기' 수법까지 동원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는 지난해 지방선거 이후 집중됐는데, 해당 지역 당협위원장인 태영호가 이들의 공천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던 만큼 공천 과정에서 뒷거래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부산 황보승희 또 논란
김현아만큼 미움을 받는 인물이 또 하나 있으니, 그녀가 바로 부산의 황보승희다. 한때 부적절한 남자관계로 논란이 된 바 있는 황보승희도 공천헌금을 받았다는 증거가 드러나 국힘당이 긴장하고 있다. 경찰은 황보승희가 선거 출마 예정자들과 부동산 개발업체 회장에게 금품을 수수했다는 단서를 잡고 정확한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 하지만 황보승희는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부산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황보승희를 피의자 신분으로 수차례 소환 조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정치자금법상 정치자금 부정수수와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로 황보승희를 조사했다. 황보승희는 부동산 개발업체 회장 A씨에게 현금 수천만 원과 신용카드, 명품 가방과 아파트 등을 제공받았다는 의혹에도 휩싸였다.
보도에 따르면, A씨는 2020년 4월 임대차계약을 체결해 황보승희에게 서울 마포구 소재 아파트를 숙소로 제공했으며 차량도 제공했다. 이런 점은 황보 승희와 전 남편인 B씨 사이의 위자료 소송에서 법원이 사실로 인정한 부분이다. 경찰은 또 황보승희가 자필로 적은 정치자금 수수 관련 장부도 들여다보고 있다. 장부에는 ‘원희룡 500만 원, 김세연 100만 원’ 등 전·현직 국회의원과 기초의회 의원, 지인들의 이름과 금액이 적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원희룡 500만원’이 주목된다.
수구 언론 침묵, 민주당만 공격
그러나 대부분 언론은 국힘당의 공천헌금 사건을 아예 다루지 않거나 다루더라도 적게 다루고 있다. 민주당의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과 김남국 가상화폐 건에 비하면 조족지혈이다. 이러고도 어디 가서 기자라고 자랑하며 살 수 있을까? ‘기레기’란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 수구 언론의 선택적 보도와 선택적 정의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특히 윤석열 정권 들어 그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 그래놓고 어디 가서 공정과 상식이란 말을 씨부렁거리고 싶을까? 하지만 수구들은 그 역풍으로 모조리 감옥에 가게 될 것이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과 양평공흥지구 부동산 특혜도 수구들에겐 ‘지뢰’다. 민주당도 이제 좀 전사적으로 싸우라. 왜 매번 앉아서 당하기만 하는가?
<저작권자 ⓒ 서울의 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