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ENCODING in /home/inswave/ins_news-UTF8-PHP7/sub_read.html on line 3
여론조사의 허실, 과학 아닌 점술 될 수도…:서울의 소리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여론조사의 허실, 과학 아닌 점술 될 수도…

조사방법, 응답률 공개하고 항목도 다양화 해야” 

서울의소리 | 기사입력 2012/12/02 [15:08]

여론조사의 허실, 과학 아닌 점술 될 수도…

조사방법, 응답률 공개하고 항목도 다양화 해야” 

서울의소리 | 입력 : 2012/12/02 [15:08]
대통령 선거는 어떤 스포츠 경기보다도 흥미진진하다. 미디어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유권자의 선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하대 하주용 교수    
미디어가 보도하는 선거정보 중 가장 많은 관심을 끄는 것이 지지율 조사결과일 것이다. 내가 지지하는 후보의 지지율뿐만 아니라 다른 유권자들의 표심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부동층의 경우 다른 유권자들의 표심이 지지 후보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를 지지해서 사표를 방지하거나 지지율이 낮은 후보에게 동정표를 주기도 한다.

문제는 여론조사 결과가 표심을 올바르게 예측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것이다. 2010년 서울시장 선거를 앞두고 실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오세훈 후보가 한명숙 후보를 ‘압도적’으로 이기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었으나 실제 투표 결과는 오 후보 47.4%, 한 후보 46.8%의 0.6% 포인트 차 접전이었다. 만약 여론조사가 실제 투표처럼 박빙의 승부로 예상했다면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

이번 대선과정에서도 각 언론사가 보도하는 후보자별 지지율이 제각각인 경우가 많다. 신문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수치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지난 26일 발표된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의 지지율을 보면 A신문은 45.2% 대 41.8%, B신문은 43.5% 대 39.9%였으나, 다른 조사기관의 자료는 42.5% 대 44.3%였다. 아예 승패가 다른 예측을 내놓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지율조사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기준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전문기관에 맡겨진다. 미디어는 이들 조사기관의 자료를 인용 보도하는 형식을 취한다. 그렇다면 조사기관의 객관성을 의심해야 하는가? 조사기관의 정파성보다는 여론조사가 갖는 방법론적 문제들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우선 여론조사기관이 어떤 방식으로 응답자를 선정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대부분의 선거 여론조사가 전화조사방식을 취하는데, 최근 들어 인터넷 전화나 휴대전화만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응답자를 대표성 있게 선정하기 어려워졌다. 성별이나 직업에 따라 생활시간대가 매우 달라 시간대별, 요일별로 응답 가능성에 많은 차이가 난다. 특히 이번 대선에서 부동층의 다수를 차지하는 20대 젊은 층은 조사에 포함하기 어렵다. 조사에 참여한 사람들이 단순히 전화를 쉽게 받을 수 있었던 사람들이라면 그 의견을 일반화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또한 조사응답률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조사응답률이 낮으면 여론조사의 신뢰성이 떨어지는데, 미국의 경우 응답률이 일정 수준 이하의 선거 여론조사는 공개하지 않는 것이 관례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응답률이 낮은 자료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응답률을 잘 밝히지 않는 실정이다. 조사 질문지의 내용과 순서가 어떻게 구성되었느냐에 따라서도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추측성 질문이나 예측성 질문이 포함된 경우, 어떻게 단어를 배치하고 표현하느냐에 따라 응답이 달라진다.

이처럼 과학적으로 보이는 여론조사결과 역시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오류가능성을 내포한다. 여기서 문제는 우리 언론이 이러한 방법론적 제한점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은 채 지지율만을 부각시켜 보도한다는 것이다. 과학적 조사의 전제가 되는 표집방법, 응답률, 문항구성 등 결과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종종 생략하고 숫자만을 부각시킨다면 과학이 아닌 점술이 되며, 객관성으로 위장된 정파성이 된다. 특히 지지율만을 부각시키는 보도는 선거를 마치 구간별 랩타임을 중시하는 경마나 스포츠처럼 취급하는 것이다.

대선 일주일 전까지는 수많은 여론조사 결과가 나올 것이다. 언론보도에 단순히 후보자별 지지율만이 아니라 후보가 제시한 공약이나 주요 선거 이슈에 대한 평가, 후보 이미지, 투표의향 등 다양한 주제의 여론조사결과가 포함됐으면 하는 것이 유권자로서의 바람이다. 

                                               국민일보 기고, 하주용(인하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PHOTO
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