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4대강 사업의 원흉 이명박 씨, 국회청문회에 세우자”

환경운동연합 “4대강 망가뜨린 이명박 , 청문회 개최” 촉구

서울의소리 | 기사입력 2016/08/26 [23:59]

“4대강 사업의 원흉 이명박 씨, 국회청문회에 세우자”

환경운동연합 “4대강 망가뜨린 이명박 , 청문회 개최” 촉구

서울의소리 | 입력 : 2016/08/26 [23:59]

환경운동연합이 2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대강을 망가뜨린 이명박, 권도엽, 김건호, 심명필, 박석순···등을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국회 청문회를 촉구했다.

 

▲     © jtbc 영상켑쳐

 

보도에 따르면 환경운동연합은 “금강에서 큰빗이끼벌레가 자취를 감춘 자리에 붉은깔따구와 실지렁이가 자리를 잡았고, 수생태건강성평가기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지표생물군 D등급이 출현하는 등 더 나빠질게 없는 상황으로 전락했다”고 설명했다.

 

이어.“낙동강에서는 기생충에 감염돼 배가 불룩한 물고기들이 잡히고, 해마다 반복되는 녹조에 수돗물 안전에 대한 위기감은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환경운동연합은 “정부도 알고 국민도 알고 있는 4대강 문제 해결의 해법은 4대강 보의 수문을 여는 것”이라면서 “지금 당장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라 국가재난 상황을 선포하고 4대강 수문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국회에 “4대강을 팔아 국고를 탕진하고 수많은 생명을 앗아간 자들을 청문회에 세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기자회견 도중 녹조에 죽어간 물고기들을 상징하는 퍼포먼스를 통해 이명박 정권의 4대강 사업 이후 피해들을 규탄하기도 했다.

 

▲     ©  jtbc 영상켑쳐

 

사상 최악의 녹조로 4대강 사업 이후 급감한 수생 생명체 개체수는 회복되지 않고 있고, 99%까지 사라졌다는 분석도 나왔다

 

'4대강 청문회'와 '4대강 재자연화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캠페인이 8월 22일부터 진행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환경운동연합 홈페이지와 <오마이뉴스> 10만인클럽에서 볼 수 있다.

 

다음은 기자회견문 전문.

 

4대강 녹조는 재앙, 국가재난 선포하고 청문회 개최하라

 

○ 온 국민을 경악하게 했던 큰빗이끼벌레가 금강에서 자취를 감추고 있다. 큰빗이끼벌레가 사라진 자리에는 붉은깔따구와 실지렁이가 자리를 잡았다. 환경부 수생태 건강성 평가 기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지표 생물군 D등급의 출현이다. 더 쉽게 풀이하자면, 금강은 더 나빠질 게 없는 상황으로 전락했다는 의미다. 낙동강은 어떤가. 갈게, 재첩, 웅어, 조기, 대치, 감치… 등이 사라진 자리다. 지난 5월 삼량진 등 6곳을 조사한 결과 블루길, 강준치, 누치 등 8종에 불과했으며, 그나마 확인된 개체도 한 지점당 3~25마리 수준이었다. 그나마도 잡힌 물고기는 기생충에 감염되어 배가 불룩한 채 헐떡이고 있다. 낙동강에서 베스나 블루길 등 외래종도 멸종할 상황이 된 것이다. 물고기뿐만 아니라 해마다 반복되는 녹조에 특히 낙동강 일대의 수돗물 안전에 대한 위기감은 커지고 있다.

 

○ 사람들을 놀라게 했던 큰빗이끼벌레는 죄가 없다. 그렇다면 누구에게 죄가 있는가. 우리 모두는 4대강을 죽음의 강으로 만든 이들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4대강 사업의 원흉 이명박 전 대통령, 4대강 파헤치기에 앞장서며 진두지휘해 온 권도엽 전 국토해양부 장관, 김건호 전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심명필 전 4대강 추진본부장, 박석순 전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이만의 환경부 장관, 정종환 전 국토해양부 장관, 차윤정 전 4대강 추진본부 환경부본부장 등이다. 걸쭉해진 저 강물 속에서 숨을 헐떡이는 저 물고기는 책임이 없다. 이 사태를 누가 책임져야 했나. 당연히 현 정부다. 박근혜 대통령, 강인호 국토교통부 장관, 윤성규 환경부 장관 등이다. 하지만 어찌 된 일인지 그들의 눈에는 4대강이 보이지 않는다. 4대강, 녹조는 여전히 암묵적으로 합의된 금기어다.

 

○ 낙동강 강물은 4대강 사업 완공 첫해 2012년부터 매년 6월이면 녹조가 창궐하여 낙동강 전체가 녹조 범벅이 되어 버리고 2013년, 2014년 녹조는 6월~10월까지 번식하였지만 2015년은 5월~11월까지 녹조가 번식했다. 해마다 녹조 번식 기간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사태가 이토록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는데 환경부는 한가하게 기괴한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지난 6월 낙동강 합천창녕보 상류에서 플라스틱 자루 12개를 강물에 띄워 놓고 강물을 채우고 '물이 고이면 녹조가 정말 생기는지 관찰 중'이다. 환경부는 보의 체류 시간과 녹조 발생의 연관성을 과연 몰라서 이러는 것인가. 국토교통위원회 이원욱 의원(더불어민주당)이 수자원공사에서 제출받아 공개한 '낙동강 수계 최적연계 현장 시범 적용안'에 따르면 낙동강 수질 개선을 위한 보 운영 방식 4개의 시나리오 가운데 8개 보의 수문을 모두 열고 방류할 경우 녹조 개선 효과가 있음을 인정한 것이 확인되었다. 심지어는 국토부도 해명 자료를 통해 '다수의 보가 활용될수록 녹조 저감효과도 크다'고 인정하기도 했다.

 

○ 정부에 요구한다. 정부도 알고 국민도 알고 모두가 알고 있는 해법은 4대강 보의 수문을 여는 것이다. 지금 당장 국가 재난 선포하고, 4대강 수문을 열어야 한다. 현 상황은 재난 및 안전 관리 기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재난 상황이라고 보아야 한다. 행정권력을 감시해야 할 국회에도 요구한다. 4대강을 망가뜨린 저들을 청문회에 세워야 한다. 우리의 아름다운 강을 팔아 국고를 탕진하고 수많은 생명을 앗아간 이들이다. 또한 죽어 가는 4대강을 못 본 척하고 있는 정부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이들에게 책임을 묻지 않고 4대강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과연 대한민국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겠는가. 우리 아이들이 한국의 강을 원래 짙은 녹색으로 알고 자라게 해서는 안 된다.

 

2016년 8월 25일

환경운동연합

  • 도배방지 이미지

이명박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PHOTO
1/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