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AP통신, 형제복지원 사건 조명...대학생 포함 반체제 인사도 잡아갔다.

1975년, 박정희가 지시...수용자 90%는 '부랑자' 범주에 들지 않는 사람들 

서울의소리 | 기사입력 2016/04/24 [12:08]

AP통신, 형제복지원 사건 조명...대학생 포함 반체제 인사도 잡아갔다.

1975년, 박정희가 지시...수용자 90%는 '부랑자' 범주에 들지 않는 사람들 

서울의소리 | 입력 : 2016/04/24 [12:08]

1970∼1980년대 부산 형제복지원에서 발생한 대규모 인권 유린 사건을 AP통신이 지난 19일 부산발 기사로 집중 조명했다.

 

AP는 "악마같은 한국의 강제 노동수용소" 라는 제목의 11쪽에 달하는 장문의 기사에서 "잡상인, 장애인, 길을 잃었거나 혼자 있는 아이들과 반정부 유인물을 갖고 있던 대학생을 포함한 반체제인사들도 잡아들였다"고 보도했다.

 

형제복지원은 1975∼1987년 부산에 있던 국내 최대 규모의 부랑인 강제 수용시설로, 이곳에서 12년간 구타와 감금, 성폭행, 강제노역 등이 자행돼 모두 531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AP통신의 보도 내용은 그동안 한국 언론에서 다뤄진 내용이지만. 새롭게 밝혀진 내용도 많다.  AP는 부랑자나 걸인, 고아는 물론 반정부 유인물을 소지한 대학생도 형제복지원 입소대상이라고 했다. 즉, 이 시설이 체제 반대자를 수용하려는 목적도 있었다는 의미다.

 

1975년, 박근혜 아버지인 독재자 박정희는 거리에서 부랑자들을 없애고 ‘정화’시킬 것을 경찰과 지역 관료들에게 지시했다.

 

경찰은 상인들의 도움을 받아 걸인, 껌이나 잡동사니를 파는 잡상인, 장애인, 길을 잃었거나 혼자 있는 아이들, 그리고 반정부 유인물을 갖고 있던 대학생을 포함한 반체제인사들을 잡아들였다.

 

한국 부산 형제복지원 시설 내(사진)에서 일어난 성폭행 및 살인에 대해, 수사가 요청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아무도 책임을 진 적이 없다. 형제복지원에 있는 사진 속 어린이들. @ AP통신

 

그들은 전국의 36개 수용 시설에 감금됐다. AP가 입수한 정부문서를 보면, 1981년 8,600명에서 오년 후 1986년에는 수용 인원이  16,000명으로 급증했다. 그중  4,000여명이 형제복지원에 있었다.

 

하지만 그중 90% 정도는 정부가 정의한 “부랑자” 범주에 들지 않는, 그래서 그곳에 수용될 이유가 없는 사람들이었다고 전 검사 김용원 씨가, 형제원 기록과 또한 정부 관계자들이 수사를 중단시킬 때까지 자신이 행한 심문을 토대로 AP통신에 말했다.

 

당시 울산지검 김 검사(현 변호사)는 이 사건을 처음 인지하고 수사를 펼쳤으나 상관이던 부장검사는 이를 축소했다. 그 사람이 바로 국회의장을 지낸 박희태였다. 사실 박희태는 정권의 뜻을 집행한 데 불과하다.

형제복지원 사건이 불거지던 당시 전두환 정권은 박종철 군 고문치사 사건으로 궁지에 몰렸고, 그래서 정권의 치부가 될 또 다른 사건인 형제복지원 사건이 부각되기를 원치 않았던 것이다.

1987년 원생 집단탈출을 계기로 실상이 알려져 '한국판 아우슈비츠'로 불리며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지만 27년 만인 2014년에야 형제복지원 진상규명 특별법이 발의돼 아직 계류 중이다.

 

성인들은 형제원 안팎에서 건설일을 했다. 아이들은 흙을 나르고 담을 쌓는 일을 하기도 했지만 볼펜이나 낚싯바늘을 조립하는 일을 했다.  @AP통신

 

AP는 "정부 고위층에서의 조직적인 은폐로 인해 지금까지 형제복지원에서 자행된 성폭행과 살인에 대해 누구도 처벌 받지 않고 있다"며 "현 정부도 증거가 너무 오래됐다는 점을 들어 야당의 조사 요구를 가로막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수천 명의 피해자들은 여전히 보상은커녕 사과도 받지 못하고 있다"며 '정의'를 요구하는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전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PHOTO
1/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