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Undefined index: HTTP_ACCEPT_ENCODING in /home/inswave/ins_news-UTF8-PHP7/sub_read.html on line 3
포스코 수사는 GH - MB의 ‘아귀다툼’:서울의 소리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포스코 수사는 GH - MB의 ‘아귀다툼’

비리 척결 내세우지만 ‘전 정권-현 정권’ 복마전

서울의소리 | 기사입력 2015/03/21 [02:48]

포스코 수사는 GH - MB의 ‘아귀다툼’

비리 척결 내세우지만 ‘전 정권-현 정권’ 복마전

서울의소리 | 입력 : 2015/03/21 [02:48]

적폐 바로잡기가 아닌 MB 측 인사 청소가 목표
MB는 어려워도 이상득․박영준까지 수사 확대될 듯
 

박근혜 정부가 이명박 정권에 대한 대대적 사정작업을 시작했다. 대상은 포스코다. 서울중앙지검 특수 2부는 포스코와 관련된 각종 비리 의혹을 들여다보며 전 정권을 정면으로 겨냥하고 있다.

 

포스코는 민영화됐지만 사실상의 국가 소유의 기업으로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전리품처럼 여겨왔다. 가장 대표적인 정부가 이명박 정권이다. 이명박 정부는 정권을 잡자마자 포스코 회장직에 정준양 전 회장을 앉히고, 곶감 빼먹듯 포스코에서 단물을 빼먹었다. 해외 계열사를 통한 비자금 조성, 친정권 인사 소유 기업들의 고가 인수 등이 그들의 주요한 방법이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적폐를 없애려고 박근혜 정부가 칼을 빼어든 것일까? 그렇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 정치권 인사들의 전망이다.

 

포스코 주요 요직을 이명박 정부 인사들의 꿰차고 앉은 후에 가장 피해를 본 쪽이 바로 박근혜 대통령과 직간접적으로 엮여 있는 사람들이다. 박 대통령의 동생 박지만 씨가 운영하는 EG는 사실상의 포스코 계열사지만 이명박 정부 측 인사들로 인해 사업에 적지 않은 제동이 걸린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전 정권 인사들이 여전히 요직을 꿰차고 있는 바람에 전리품 수확도 부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자 더 이상 지켜볼 수만은 없다고 판단한 정권에서 검찰을 이용한 사정 작업에 나섰다는 것이 대체적 분위기다. 한 마디로 국민세금으로 세운 기업 포스코를 정치권에서 나눠먹기 위한 아귀다툼이 지금의 상황이라는 것이다. 포스코  수사를 둘러싼 내막을 <선데이저널>이 취재했다. <리차드 윤 취재부 기자>

       

 ▲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왼쪽).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오른쪽).
 

이명박 정부 출범 당시 포스코 건설 사장이었던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은 사실 포스코 내부에서 방계에 불과했다. 엔지니어 출신인 그는 주로 생산기술 부문에서 일하면서 그룹 핵심부에서는 밀려나 있었다.

 

이구택 전 회장이 그만둔 후 포스코 회장직을 둘러싸고 정 전 회장과 윤석만 전 포스코 사장이 맞붙었다. 윤 전 사장은 포스코 내부에서도 박태준 라인으로 꼽히며 사실상 회장에 내정되었었다. 이 때 갑작스럽게 치고 들어온 것이 바로 정 전 회장이다.

 

왕차관 개입 의혹

 

정 전 회장이 등에 업은 인사들이 바로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이다. 박 전 차관이 포스코 회장 인사와 관련해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은 이미 2012년 한 차례 제기된 바 있다. 검찰이 2012년 파이시티 인허가 비리를 수사할 당시였다. 파이시티 인허가 비리는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과 박 전 차관이 브로커로터 돈을 받고 인허가에 개입한 사건이다.

 

당시 검찰은 박 전 차관의 포스코 회장 인사 개입설에 대해 혐의가 있다고 보고 내사를 벌였지만, 박 전 차관이 잠시 공직을 떠나있던 때의 일이라 법리 적용이 어렵다고 판단해 사건을 덮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정당국에 따르면 2012년 파이시티 인허가 비리 수사를 맡았던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박 전 차관이 2009년 초 신임 포스코 회장 인선에 관여했다는 의혹에 대해 내부 조사를 벌였다.


대검 중수부는 박 전 차관이 2008년 10월부터 2009년 1월까지 이구택 포스코 당시 회장을 시작으로 윤석만 사장,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 정준양 포스코건설 사장 등을 잇따라 만나며 신임 회장 선임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 것을 파악했다. 당시 박 전 차관은 정두언 한나라당 의원이 제기한 ‘권력 사유화’의 당사자로 지목돼 2008년 6월 청와대를 잠시 나와 이듬해 1월 국무총리실 국무차장으로 복귀할 때까지 6개월간 민간인으로 지낼 때였다.

 

대검 중수부는 인사 개입설을 비롯한 박 전 차관의 주변 의혹을 확인하다 법리검토 끝에 내사를 종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차관이 공직자 신분이라면 이같은 포스코 회장의 인사개입에 대해 형사처벌이 가능하지만, 민간인 신분이었기 때문에 사법처리가 어렵다고 판단한 것이다.


박 전 차관의 정준양 회장 밀어주기 의혹은 국회에서도 문제가 됐다. 2009년 4월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회의에서 우제창 민주당 의원이 박 전 차관을 향해 포스코 그룹 회장 선임 직전에 정준양 당시 포스코건설 회장을 면담했던 사실을 추궁하기도 했다. 면담 자리에는 박 전 차관과 친분이 두터운 영포라인의 이동주 제이엔테크 회장도 함께 동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정준양 회장이 경쟁자였던 윤석만 포스코 사장을 물리치고 회장으로 선임된 이후 제이엔테크도 사업을 따내며 급격한 성장을 이뤘다. 이처럼 박 전 차관이 포스코 회장 인선 과정에 개입했고 협력업체 선정 등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은 정치권 등에서 꾸준히 제기돼 왔으며, 이는 검찰 수사로도 이어졌다.

 

신세 갚으려 회사 망가뜨려

 

정 전 회장은 회장 선임 과정에서 진 ‘신세’를 갚기 위해 부실 덩어리 기업을 비싼 가격에 인수했다는 소문이 무성했다. 대표적인 부실 인수 기업은 대우인터내셔널과 성진지오텍, 삼창기업, 엔케이스틸 등 10여개 기업이다. 정 전 회장은 대표적인 부실기업으로 평가받은 2010년 3월 성진지오텍(현 포스코 플랜텍)의 지분 40.4%를 인수해 2013년 7월 포스코플랜텍과 합병했다. 이 때 주식을 두 배 이상 비싼 가격으로 인수했다.

 

성진지오텍의 최대주주였던 전 모 회장의 8300원짜리 주식을 1만 6330원(1600억원)에 사들였다. 성진지오텍은 2009년 부채비율이 1613%로 부도 일보 직전의 기업이었다. 이런 기업의 주식을 주당 1만 6300원에 사들이는 바람에 정 전 회장과 성진지오텍과는 모종의 거래가 있었다는 설이 업계에 널리 퍼졌다. 성진지오텍은 인수·합병 뒤인 지난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무려 2900억원의 손실을 냈다.


정 전 회장의 대우인터내셔널 인수도 비슷한 과정을 거쳐 고가 매입 특혜 의혹에 휩싸였다. 정권의 실세가 개입해 정 전 회장에게 이들 부실기업을 인수·합병하라는 요구를 했고, 정 전 회장은 보은 차원에서, 연임을 위해 정권 실세들의 무리한 요구를 수용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정 전 회장은 그런 일이 없다고 2013년 말했다.

 

하지만 30여개였던 포스코그룹 계열사는 정 전 회장 재임 5년 동안 70여개로 늘어났다. 검찰은 이들 부실 기업 인수에 MB 정권 실세들의 개입이 있었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또 인도네시아와 인도 제철소 건설 등 포스코의 해외자원개발의 하도급 사업과 관련해서도 전 정권 실세들이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것으로 검찰은 추정하고 있다.

 

한 건설업체는 정준양 회장 시절 포스코 건설로부터 2000억원에 가까운 하도급 공사를 수주한 것으로 알려졌다.포스코 건설은 정준양 회장의 최측근이었던 정동화 사장 체제였다. 검찰이 정준양 전 회장의 방만 경영과 정권 실세들과의 유착관계를 한 점 의혹도 없이, 정치적 고려 없이, 철저히, 낱낱이 파헤친다면 비리가 고구마 줄기처럼 드러날 것이다. MB정권 실세들뿐만 아니라 대구·경북을 근거지로 하는 정치인들과 언론사주의 이름도 오르내릴 수 있다.

 

뿔난 박지만

 

문제는 지난 정부 5년 간 정권을 등에 입었던 인사들이 여전히 포스코와 사업을 하면서 단물을 빼먹고 있다는 사실이다. 박근혜 정부가 칼을 빼든 것도 이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정부는 겉으로는 낙하산 근절을 외쳤지만, 지금 각 공기업 요직에 정치인들이 대거 포진해 있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이다.

 

여기서 빗겨나가는 있는 것이 바로 포스코다. 사실 박근혜 대통령 주변에서는 박 대통령이 정권을 잡을 경우 포스코와 관련된 사업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대표적 인사가 박지만 회장이다.

 

 
 

박지만 씨가 회장으로 있는 EG는 1987년 5월 ‘삼양산업’이라는 이름으로 충남 금산에 설립됐다. 초기 자본금 4억원은 포항제철(현 포스코) 계열사 거양상사와 삼화전자공업(삼화콘덴서)이 각각 2억원씩 출자했다. 삼양산업을 키워준 것은 단연 포항제철이었다.

 

고 박태준 포항제철 명예회장은 생전에 냉연강판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을 삼양산업에 독점 공급토록 했다. 삼양산업은 이 부산물을 2차 가공해 모니터 부품 등에 필수적인 산화철로 만들었다. 1999년 사명을 EG로 바꾼 뒤에도 주력 업종은 산화철 수거 및 재판매, 복합소재 생산 등이다.


1998년 2월 수출 유망중소기업으로 선정됐고, 일본 TDK 등으로 수출하면서 매출이 크게 늘었다. 금산 본사와 광양사업부에 자체연구소가 있으며, 울산 미포국가산업단지 내에 3만 1420㎡ 석유화학 공정에서 발생되는 탈황폐촉매처리 유가금속 회수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EG에는 EG메탈, EG테크, EG포텍 등의 계열사를 두고 있다. EG에 박지만 회장을 입사시킨 사람도 고 박태준 명예회장으로 알려졌다. 박태준 명예회장은 박지만씨가 1989년 필로폰 투약 혐의로 구속됐다 풀려난 직후 EG 부사장직으로 앉혔다. 그 다음해인 1990년 1월 박지만 씨는 EG 대표이사에 올랐다.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은 박지만씨에게 9억원을 빌려줘 대주주가 되도록 도왔다. 박지만씨는 25.95%의 지분을 가진 EG 최대주주다. EG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1230억원에 영업익 63억4986만원, 당기순익 47억4938만원을 거뒀다. 시가총액은 1300억원대로 코스닥 순위 238위다. 아울러 EG는 세계 고급 산화철 시장에서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꾸준히 15%가 넘는 점유율을 보이며 일본 JFE케미칼, 유럽 보이스트알피네를 제치고 1위 자리를 수성하고 있다. 2012~2013년 매출 기준 국내 산화철 시장 점유율 역시 51% 가량이다.


EG는 박태준 회장 등의 유언 때문에 포스코서 안정적 매출을 올리고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사업이 계속해서 성장한다고는 보기 어렵다. 매해 사업이 비슷한 수준이다. 따라서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포스코 측에서 도와줘야 하는데, 포스코 핵심라인이 여전히 전 정권 인사들에게 휘둘리는 만큼 생각대로 되지 않는 측면이 많았다고 한다. 특히 정 전 회장의 후임인 권오준 현 회장 역시 정 전 회장의 고등학교 후배인 만큼 포스코가 전 정권 인사들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있다는 것이 현 정부의 판단이라는 것.


이번 검찰 수사 역시 그러한 연장선상에서 봐야한다. 겉으로는 비리 척결을 내세우지만 그 이면에는 이권을 둘러싼 전 정권과 현 정권 간의 ‘복마전’ 양상이라는 것이 이번 수사의 핵심인 셈이다.

 

법조계에서는 이번 수사로 이명박 전 대통령은 몰라도 이상득 전 의원이나 박영준 전 차관은 검찰 수사를 받게 될 확률이 높다고 말한다. 포스코 협력업체의 비리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있는 검찰이 이번에는 포스코에 대한 아귀다툼을 사법적으로 규명할 수 있을 지 관심이 집중된다.

 

선데이 저널 USA 리차드 윤 기자  http://www.sundayjournalusa.com/   

  • 도배방지 이미지

선데이 저널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PHOTO
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