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한국 기자들이 ‘노벨경제학상’ 받아야하는 이유..“아무거나 갖다 줘, 文정부 탓으로 만들어줄게”

자살률까지 왜곡해 文정부 비난했다. 노무현 정부 때처럼 '경제 망하라'고 고사 지내는 언론들

고승은 기자 | 기사입력 2018/12/20 [17:13]

한국 기자들이 ‘노벨경제학상’ 받아야하는 이유..“아무거나 갖다 줘, 文정부 탓으로 만들어줄게”

자살률까지 왜곡해 文정부 비난했다. 노무현 정부 때처럼 '경제 망하라'고 고사 지내는 언론들

고승은 기자 | 입력 : 2018/12/20 [17:13]
▲ 마치 세계경제는 호황인데, 유독 한국만 부진한 것처럼 몰아가는 언론들이 정말 많다. 사실은 정반대다.     © 채널A

포탈에서 뉴스를 찾아보면, 경제 관련해선 온통 어두운 소식들로만 도배돼 있다. 정말 읽기가 겁날 정도다. 마치 전세계가 6~70년대처럼 호황을 맞고 있음에도 유독 한국만 경제가 나쁜 것처럼 왜곡하고 있다. 이런 왜곡된 뉴스들이 많이 나올수록, 사람들의 불안 심리는 높아지고 정부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기 마련이다.

 

이런 언론들의 태도는 과거 참여정부 시절, 언론들이 매일같이 ‘경제폭망’ 녹음기를 틀던 모습이 떠오른다.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참여정부가 경제를 파탄 냈다는 얘기를 하지 않았다. 오히려 외신은 참여정부를 칭찬했다. 그러나 오로지 국내언론에서만 경제파탄 노래가 불려졌다.

 

마치 (군사독재정권과 부패재벌의 정경유착과 무능력함으로 빚어진 합작품인) IMF도 민주정권이 일으킨 것처럼, 당시 언론들과 한나라당(현 자유한국당)은 노무현 대통령에게 ‘경포대(경제를 포기한 대통령)’이라는 딱지까지 붙였다.

▲ 한나라당은 참여정부 시절 경포대(경제를 포기한 대통령) 단어를 읊었다. 당시 한나라당 소속이던 손학규 경기지사(현 바른미래당 대표)가 경포대라는 단어를 언급했다.     © 오마이뉴스

그렇게 조성된 분위기는 ‘이게 다 노무현 때문이다’라는 무시무시한(?) 프레임을 만들어냈다. 참여정부 때의 기억을 떠올려보면 연예인의 가십성 기사든, 국대 스포츠 팀이 패했다는 기사든, 절도 범죄가 일어났다는 기사든 가리지 않고, “이게 다 노무현 때문이다, 이렇게 될 동안 노무현은 어디서 뭘 하고 있었나?“ 식의 댓글들이 무더기로 달렸다.

 

< 조선일보 > 등은 말할 것도 없고, < 경향신문 > < 한겨레 > 같은 소위 ‘진보’ 언론도 당시 노무현 대통령에 절대 우호적이지 않았다. 단번에 개혁을 이뤄내지 못했다며 때리기에 바빴던 것이다. 그런 ‘경제파탄’ ‘이게 다 노무현 때문이다’ 프레임은 소위 ‘경제대통령’을 자처했던 이명박의 집권을 만들어낸 셈이다.

 

당시 언론과 야당에서 녹음기처럼 읊어대며 사정없이 흔들어댔던 것,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다. (물론 다른 전략도 추가됐지만)

 

화제가 된 “언론만 보면 한국경제는 곧 망할 것 같습니다”

최경영 기자 “조중동, 참여정부 때처럼 위험한 불장난 그만둬라” 일침

2004~2013년 자료로, 문재인 정부 비난한 ‘조선’ ‘연합’

김어준 총수 “찾아볼 사람이 없으니까 막 갖다 쓰는 것”

 

최근 최경영 < KBS > 기자의 < 한국언론 오도독 > 시리즈가 화제가 되고 있다. 한국 언론들이 왜곡하고 있는 내용과 감추려하는 속내를 짚은 거라 할 수 있다. 최근 < 뉴스타파 >에서 < KBS >로 복직한 최 기자는 < 9시의 거짓말 > < 뉴스는 어떻게 조작되는가? > 등의 저서를 집필, 언론이 감추고자 하는 속내를 짚은 바 있다.

 

특히 지난 19일 올라간 < 언론만 보면 한국경제는 곧 망할 것 같습니다 > 라는 제목의 기사가 네티즌 사이에서 큰 화제가 됐다. 그 기사의 일부를 발췌했다.

▲ 최저임금 상승 문제로 문재인 정부를 흔드는 종편 언론     © 채널A

“경제상황이 안 좋은 것과 경제보도 행태가 나쁜 것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경제가 안 좋다고, 또는 미국 경제가 불황이라고 해서 미국 유수의 언론사들이 한국의 언론사들처럼 보도하지는 않습니다. 경제가 안 좋을수록, 아니 경제가 호황이든 불황이든, 정파성과 선정성은 최대한 배제되는 게 좋습니다. 수치를 드라이하게 보도하고 수치의 함의에 대해서 다각도로 분석해야 하지요.”

 

“그런데 한국 언론사, 특히 '조중동'과 같은 정파적 상업 신문사들이 현 정부 들어 보도하는 양태는 그야말로 가관입니다. 이건 어떻게든 경제가 나쁘다는 점을 최대한 부각시켜서 경제가 더욱 나빠지라고 매일 기원제를 올리는 것 같습니다.”

 

“이른바 ‘조중동’은 노무현 정부 때도 지금과 거의 똑같은 보도 양태를 보이면서 노무현 정부를 저주하다시피 했다는 것을 국민들은 기억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들의 현재 보도 양태가 한국 경제의 위기를 경고하기 위함이 아니라, 경제의 자기실현적 예언효과(Self-fulfilling prophecy)를 촉발시켜 불안한 소비자의 지갑을 닫게 하고 경제 상황을 더욱 악화시켜, 그로 인해 민심이 이반하고 결국 정권이 바뀔 것이라는 이기적인 소망에 기초한 것이 아니냐고 많은 국민들은 의심합니다. 그러니 위험한 불장난은 그만두세요. 눈치 챌만한 사람들은 이미 다 눈치 챘습니다”

 

최 기자는 20일 교통방송 < 김어준의 뉴스공장 > 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언론들이 ‘자살률’과 관련해서 왜곡된 자료를 쓰고 있음을 설명했다. 최근의 통계가 아닌 지난 2004년부터 2013년까지의 통계를 갖고 기사를 썼음을 지적했다.

▲ 참여정부 때, 경제파탄 노래를 불렀던 조선일보.     © 서울의소리

최 기자는 우선 < 조선일보 > 의 보도를 언급했다. 한국의 자살률이 2005년부터 줄곧 1위였는데 지난 9월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가 새로운 연구 결과를 낸 것이다. 이 교수는 연구를 통해 40~50대 남성 저소득 자영업자의 자살률이 10만 명당 113명으로 같은 조건의 임금근로자 자살률보다 약 3배 정도 높다고 발표했다.

 

이를 근거로 이한수 < 조선일보 > 문화부 차장은 지난 10월 "때를 놓치면 재앙이 닥친다“는 제목의 기명 칼럼을 썼다. 당시 글은 “현 정부 출범 후 국내에서 고용 참사가 이어지고 있다. 취업자 증가폭이 급격히 추락하고 있다”며 이 교수의 저소득 자영업자 자살률 발표수치를 언급했다. 그러면서 “현재 상황이 지속된다면 1년여 후 어떤 재앙을 겪게 될지 불안하기만 하다”고 글을 썼다.

 

또 최 기자는 < 연합뉴스 > 가 지난 9월 추석연휴 무렵에 올린 기획기사 ”연휴는 긴데 지갑에 돈이 없네요“를 언급했다. 당시 기사에선 ”사는 게 힘들다보니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을 하는 사람도 늘었다“며 이 교수의 발표 수치를 언급했다.

 

이같은 보도들은 마치 최저임금을 대폭 올린 문재인 정부 때문에 저소득 자영업자들의 자살률이 치솟은 것으로 몰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실상은 문재인 정부하고는 전혀 관련이 없는 통계자료를 갖고 언론들이 왜곡한 것이었다. 최 기자의 설명이다.

▲ 이명박근혜 정권의 뿌리인 자유한국당은 매일같이 ‘민생파탄’을 참여정부 때처럼 우기고 있는 중이다.     © 자유한국당

“그런데 이게 사실 2004년부터 2013년까지의 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 결과예요. 2017년 5월에 문재인 정부가 시작이 됐잖아요. 그러니까 정부 정책 때문에 과거 2004년부터 2013년 자영업자들의 자살률이 늘었다는 황당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 거죠”


이에 김어준 < 딴지일보 > 총수는 “그런데 이것까지 찾아볼 사람이 없으니까 갖다 막 쓰는 거군요”라고 지적했고, 최 기자는 “의도를 갖고 기사를 쓰면 맞춰서 기사를 써 버리게 되는 거다. 이건 정말 왜곡 보도다. 이런 식으로 기사를 쓰면 정말 안 된다”고 꾸짖었다.

 

나쁜 결과 등장하면, 무조건 文 정부 ‘탓탓탓’ 모는 언론들

“아무거나 갖다 줘, 내가 정부 탓으로 만들어 줄게”

아무리 전체적 평가 좋아도, 극히 부정적 일부분만 찝어 기사제목으로

참여정부 때처럼 ‘문재인 정부 망해라’ 고사 지내는 조중동류 언론들

 

최 기자는 또 한국 기자들이 경제에서 어떤 현상이 일어날 때, 무조건 정부 정책 탓으로 몰아가는 습성을 지적했다. 어떤 정책을 시행하기도 전에, 좋지 않은 결과에 무조건 맞춰서 글을 쓰는 것이다.

 

“전반적인 기사의 흐름인데 한국의 기자들은 노벨경제학상 후보자들이에요, 전부 다. 정부 정책이 인풋이 들어가면, 아웃풋이 나오잖아요. 그러면 그게 다 정부 정책 때문이에요. 이렇게 기사를 쓰는 곳은 전 세계 선진국 언론 중에 이렇게 기사 쓰는 곳은 없어요. 정말 제가 단언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의 기사 쓰기는 정말 과학적 글쓰기가 아니에요. 객관 보도, 공정 보도 이런 거 떠나서. 이걸 이렇게 확언할 수 있으면 노벨경제학상을 다 탈 수 있는 거예요. 경제는 economics continuous 라는 거죠. 연속적인 겁니다”

 

김어준 총수는 이런 지적에 공감하며 “(한국 언론들은)엄청나게 목적지향 적이다. 아무거나 갖다 줘, 내가 다 정부 탓으로 만들어 줄게(식)”이라고 요약했다.

▲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국회의원 시절 발언을 통해, 참여정부 10조원 재정적자에는 언론이 나라 망할 것처럼 떠들더니, 이명박 정권의 98조원 재정적자, 박근혜 정권의 167조 재정적자에 대해선 말하지 않았음을 꾸짖은 바 있다.     © 홍종학 장관 블로그

최근 OECD가 발표한 경제전망치를 보면, G20 내 국가들은 2020년 들어 성장률이 1%대로 떨어진다. 그러나 한국에 대해선 올해 2.7%, 내년 2.8%, 내후년 2.9%로 오히려 상승추세로 예측했다. 꽤 안정적이라는 얘기다.

 

양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최근 방한해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한국 경제 괜찮다”고 얘기한다. 그러나 언론은 이를 거의 다루지 않고, 오히려 부정적인 얘기만 쏟아낸다.

 

최경영 기자는 이명박근혜 정권과 문재인 정부에게 언론이 다른 잣대를 들이대며 보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명박근혜 정권 때는 보고서의 전체적인 내용을 종합해 보도한 반면, 문재인 정부 들어서는 보고서의 극히 일부분에 나와 있는 부정적인 부분만 크게 확대해 보도하는 것이다. 이건 언론이 ‘문재인 정부 망하라’고 고사를 지내고 있는 격이다.

 

“이명박이나 박근혜 정부나 이런 때 10년 동안의 OECD 경제전망 보고서가 나오잖아요. 그럼 헤드라인이 OECD 경제전망 보고서가 2018년, 2019년 또는 2014년, 2015년 수치가 먼저 제목으로 나오거든요. 그 다음에 기사 내용은 국내외 경제 요인이 나옵니다. 여러 가지 경제 요인들 때문에 이렇게 전망한 것 같다. 항상 그렇게 썼어요”

 

OECD "韓 최저임금 큰 폭 인상, 고용·성장에 부담" (조선일보)

OECD의 또 다른 경고…”한국 실업난 2020년까지 지속” (중앙일보)

OECD “韓 최저임금 인상 고용부담” 공식인정…속도조절 권고 (동아일보)

 

최 기자는 “OECD 논문을 다 읽어 봤지만, '경고'라는 단어는 전혀 나오지 않는다. 경고라는 단어는 한 단어도 안 나온다”며 조중동의 과장 보도를 꾸짖었다.

 

문득 생각나는 이명박 때 ‘G20 450조 경제효과’ 드립

MOU도 실제 계약인 것처럼… 이명박근혜 나팔수해주던 언론들

‘적폐청산’ 싫어하는 그들의 속내, 더 이상 IMF 주범들에 속을 수 없다

 

이명박근혜 정부 당시 대다수 언론들의 경제보도는 어떠했을까. 그들의 경제 실정이 터지면 세계 경제가 너무 어려워서라느니, 아니면 ‘세월호 참사’나 ‘메르스 대란’의 영향으로 경기가 위축될까 우려스럽다느니, 앞장서 보호망 쳐준 것 참 많이 봤다.

 

이명박 정권 시절 < G20 경제효과 450조 > 보도가 문득 생각난다. 고작 1박2일 행사 개최가 당시 한국의 정부예산(2011년 309조 6천억원)보다 1.5배나 많았을 정도니. 얼마나 그런 황당한 보도로 국민 눈을 우롱했나.

▲ 이명박 정권 당시 있었던 G20 경제효과 450조, 1박 2일 회의로 국가 1년예산 이상의 효과가 있다는 정말 어처구니없는 발표를 언론은 대대적으로 실었다. 당시 동아일보 보도.     © 네이버

이명박근혜 정권은 해외순방을 나갈 때마다 MOU(양해각서)를 마구잡이로 체결하곤 했다. 그러면 청와대는 대대적으로 이를 엄청난 성과라고 홍보하곤 했다. 당시 언론은 그런 과장 발표를 분석해서 지적하기는커녕, 그대로 받아쓰며 헤드라인을 ‘52조원 수주’ ‘400억 달러 확보’ 이런 식으로 도배했다. 그러면 사람들은 ‘정부가 정말 엄청난 외교성과를 거두고 있구나’라고 착각하기 쉽다.

 

그러나 이미 겪었다시피, 양해각서는 조약이나 협정같이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것이 아니다.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이다. 실제 체결되는 경우는 별로 없다. 2015년 국정조사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의 자원외교 MOU 96건 중 실제 계약으로 이어진 것은 16건에 불과했다는 사실이 드러난 바 있다.

▲ 박근혜 정권 당시 이란 순방에서 MOU를 맺은 것을 가지고, 대대적으로 청와대의 자료를 받아적으며 ‘경제효과 53조’ ‘경제효과 42조’ 이런 식으로 떠들썩하게 홍보해주던 언론들.     ©  서울신문, 세계일보, 조선일보
▲ 박근혜 정권 당시 이란 순방에서 MOU를 맺은 것을 가지고, 대대적으로 청와대의 자료를 받아적으며 ‘경제효과 53조’ ‘경제효과 42조’ 이런 식으로 떠들썩하게 홍보해주던 언론들.     © 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그렇게 이명박근혜 정권을 띄워주고 방어해주기에 급급했던 주요 언론들, 그들이 매일같이 ‘경제폭망’ ‘경제위기’ 설을 자료까지 왜곡하면서 보도하며 사람들을 불안하게 하는 이유는 뭘까. 또 인터뷰 상대를 치킨집 종사자, 편의점 업주, 카페 업주 등 폐업하는 경우가 잦은 ‘레드오션’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만 찾아 “경제가 어떻냐”라고 묻는 이유가 뭘까.

 

문재인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인 ‘소득주도성장’을 무너뜨리면서, ‘(죽지도 않은)경제나 살려라, 무슨 적폐청산이냐’라는 프레임을 만들려는 것이다. 아울러 ‘이명박근혜처럼 문재인도 별 수 없네’라는 프레임도 함께 씌우려는 것이다.

 

그렇게 문재인 정부의 개혁동력을 약화시키면서, 자신들의 이권을 적극 지켜줄 또 자신들이 ‘아바타’처럼 조종할 수 있는 그런 차기 ‘경제대통령’을 세우려는 과정이 아닐까. 그래야 자신들에게 큰 이익이 되니까.

 

[ 저널인미디어 고승은 기자 ]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PHOTO
1/209
언론의 적폐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