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전국기자협회, 성주 '외부세력 보도하라' 보도지침 폭로"취재 현장 무시한 ‘사드 공안몰이’ 거부한다!" 성명서 발표사드 배치와 관련해 박근혜,새누리에 힘을 실어주는 KBS의 ‘보도지침’이 누적돼왔다는 폭로까지 나와 논란이 예상된다. KBS 본사가 대구총국의 반발에도 ‘성주 시위에 외부세력 개입’과 관련한 리포트 제작을 지역국에 지시하고 이를 관철시킨 사실이 폭로됐다.
이 과정에서 KBS 간부가 대구총국 데스크에 리포트 제작이 ‘윗선’의 지시였음을 시사하는 발언을 했던 것으로도 드러났다.
KBS 전국기자협회가 20일 윗선의 사드 보도지침을 거부하는 의사를 표명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KBS 지역총국 소속 취재기자들로 구성된 전국기자협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윗선의 객관보도를 가장한 공안몰이에 지역국 기자들은 가담할 의사가 전혀 없다”면서 “일부 지도부의 공안몰이에 현장 기자들을 이용하지 마라”고 경고했다.
기자협회는 성명에서 “지난 19일 대구 총국 데스크인 박준형 기자는 문화일보의 ‘성주 시위에 외부세력 개입 확인’ 기사가 나간 뒤 이를 리포트로 만들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러나 기사는 오보였고 확인된 건 단지 ‘통진당 등 정당인들이 시위현장에서 목격되었다’는 것 뿐이었다”며 “이들이 마치 시위를 주도하고 총리에게 날계란과 물병을 던진 사람인 것처럼 몰아가는 기사는 쓸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박준형 부장은 만약 쓴다면 ‘종북몰이를 중단하라’는 성주 주민들의 반론이 꼭 들어가야 하며 그나마도 이런 리포트를 후배들에게 지시할 수 없고 본인이 쓰겠다고 했다”면서 “그러나 네트워크 부장은 ‘리포트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라며 윗선의 지시를 인정했다”고 주장했다.
기자협회는 “결국 그 ‘윗선’의 의도대로, 최초 작성된 리포트는 4차례나 수정이 이뤄졌고 ‘종북몰이’라는 말은 원고에서 빠졌다”고 밝혔다
“윗선의 부당한 보도지침에 현장기자들만 ‘수모’”
KBS 본사는 지난 16일 보도된 “‘달걀 투척·통행 방해’…경찰 수사 착수” 리포트와 관련해서도 25년 전 한국외대에서 특강을 하던 정원식 전 국무총리에게 밀가루를 던졌다가 학생들이 징역형 받은 사건의 화면까지 넣으라고 대구총국에 지시했다.
전국기자협회는 현장에서 ‘외부 인사 개입’이라는 연합뉴스 보도가 잘못됐음을 수차례 보고해도 이를 무시하고 본사에서 리포트 제작을 요구하는 사례가 있었다고도 폭로했다.
성주 주민들의 KBS에 대한 반발도 극심하다고 이들은 전했다. 지난 15일 황 총리가 성주를 방문했을 때, KBS 기자는 현장에서 연결할 전기 사용을 위해 군청 옆 부동산에 부탁했지만 주인은 “KBS는 안 해 준다. 그렇게 보도할 거면 전기 못 빌려준다”며 플러그 잭을 숨겼다.
이에 기자는 “제가 방송하는 거 보고 말씀해 달라, 한 번만 빌려 달라”며 양해를 구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 뿐만 아니라 총리실 풀단으로 온 본사 부장급 촬영기자는 트라이포드를 뺏겼고, 대구총국 촬영기자도 공격을 당했다는 사실도 함께 전했다.
이들은 “이후로도 성주에 취재를 갈 때마다 기자들은 인터뷰 거부를 겪고 있고 그때마다 사정하고 달래가며 취재를 하고 있다”며 “그렇게 겨우 찍어서 올린 그림과 인터뷰는 ‘보도지침’에 따라 주민들의 본래 뜻과 달리 비틀어지고 현장 취재는 더 어려워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래는 KBS 전국기자협회 성명서 전문,
[전국기자협회 성명] 취재 현장 무시한 ‘사드 공안몰이’ 거부한다!
‘사드’ 사태가 ‘제2의 세월호’사태가 될 조짐이 보이고 있다. 정부의 갑작스러운 사드배치 지역 발표 이후, 경북 성주군민들은 그동안 다른 후보지 주민들이 그래왔듯 강하게 반발했다. 그러나 이 과정을 취재하는 KBS대구총국의 현장 기자들은 주민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싣지 못했고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은 ‘보도지침’을 받았다.
어제(19일) KBS 9시 뉴스 5번째 리포트는 박준형 기자의 <경찰, “성주시위 외부단체 인사 참가 확인”>이었다. 박준형 기자는 대구총국 현 취재데스크이다. 파업 상황도, 입이 모자란 것도 아닌데 왜 취재데스크가 리포트 했나?
박준형 기자는 당일 오후 문화일보의 ‘성주 시위에 외부세력 개입 확인’ 기사가 나간 뒤 이를 리포트로 만들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러나 기사는 오보였고 확인된 건 단지‘통진당 등 정당인들이 시위현장에서 목격되었다’는 것뿐이었다. 이들이 마치 시위를 주도하고 총리에게 날계란과 물병을 던진 사람인 것처럼 몰아가는 기사는 쓸 수 없다고 박준형 부장은 말했다. 만약 쓴다면 ‘종북몰이를 중단하라’는 성주 주민들의 반론이 꼭 들어가야 하며 그나마도 이런 리포트를 후배들에게 지시할 수 없고 본인이 쓰겠다고 했다.
그러나 네트워크 부장은 “리포트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라며 윗선의 지시를 인정했다. “KBS의 색깔이 있는데...”라는 말도 하며 윗선의 개입을 합리화하기까지 했다.결국 그 ‘윗선’의 의도대로, 최초 작성된 리포트는 4차례나 수정이 이뤄졌고 ‘종북몰이’라는 말은 원고에서 빠졌다.
취재부장이 이렇게 ‘폭발’한 것은 지난 며칠 간 누적된 부당한 지시 때문이다. 우리는 당초 성주시위 현장에 ‘외부인사 개입’이라는 연합뉴스 보도가 잘못된 것이라는 보고를 수차례나 했다. 연합뉴스에 나간 비대위원장의 인터뷰는 ‘성주사람이 아닌 인근 칠곡, 고령 사람들도 ‘외부인’이라고 부른다는 의미였다‘고 다른 주민대표들이 해명을 했지만, 이를 ‘외부세력’으로 몰아간 연합뉴스의 보도를 옳다구나 하며 그대로 따라 하라는 본사 지침이 계속돼 온 것이다.
16일(토) 9시 ‘총리에 달걀투척. 감금...경찰 수사’ 리포트 역시 25년 전, 정원식 국무총리에 밀가루 던졌다가 징역형 받은 그림까지 넣으라고 구체적으로 ‘찍어서’ 대구에 지시했다. 당일 MBC와 SBS는 ‘불법행위 수사...사드배치 반대 주민 대책위는 투쟁위로 확대개편’ 이라는 리포트가 나가 우리와는 확연하게 다른 색깔을 보였다. 우리 리포트에서는 비대위가 확대개편됐다는 문장이 삭제돼 버렸다.
이렇게 현장 기자들의 목소리는 무시하고 진행되는 ‘보도지침’은 결국 현장 기자들에게 수모를 주고 있다.
15일(금) 황교안 국무총리 성주방문 당시, 9시 뉴스에 MNG 연결을 배정받은 기자는 아수라장이 된 현장에서 연결할 전기를 쓰기 위해 군청 옆 부동산에 부탁했지만 주인은 “KBS는 안 해 준다. 그렇게 보도할 거면 전기 못 빌려준다”며 플러그 잭을 숨겼다.기자는 “제가 방송하는 거 보고 말씀해 달라, 한 번만 빌려 달라”고 사정사정해서 겨우 MNG를 연결할 수 있었다.
MNG뿐 아니라 촬영에도 차질을 빚었다. 총리실 풀단으로 온 본사 부장급 촬영기자는 트라이포드를 뺏겼고, 대구총국 촬영기자도 공격을 당했다.
이후로도 성주에 취재를 갈 때마다 기자들은 인터뷰 거부를 겪고 있고 그때마다 사정하고 달래가며 취재를 하고 있다. 그렇게 겨우 찍어서 올린 그림과 인터뷰는 ‘보도지침’에 따라 주민들의 본래 뜻과 달리 비틀어지고 현장 취재는 더 어려워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급기야 TV조선과 함께 KBS를 항의 방문하겠다는 글들이 인터넷 언론사 등을 통해 나오기까지 했다.
현장 기자의 목소리를 무시하며 지키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 북핵 위기 상황에 사드라는 중차대한 안보정책을 반대하는 주민들을 억누르고, 외부세력이 선동해 국가원수대행을 감금했다고 말하고 싶은 것 아닌가? 확인되지 않은 ‘외부세력’이라는 보도를 하는 것 자체가 그 프레임에 묶이는 거라는 현장 기자들의 말은 무시한 채 “팩트만 말하면 되지 않느냐”며 ‘객관 보도’를 가장해 지시가 내려진다.
전국기협 기자들은 단언한다. 윗선의 객관보도를 가장한 공안몰이에 지역국 기자들은 가담할 의사가 전혀 없다는 것을. KBS의 주인은 국민이고, 사장이나 본부장이 아니다.국민의 뜻을 받드는 것은 현장 기자들이고, 그 대가를 치르는 것도 현장 기자들이다.세월호 당시 ‘기레기’로 조롱받았던 KBS 기자들의 수모를 되풀이하고 싶지 않다면, 일부 지도부의 공안몰이에 현장기자들을 이용하지 마라
2016년 7월 20일 전국기자협회
<저작권자 ⓒ 서울의 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KBS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